2020. 3. 29. 08:37ㆍ코로나 19에 대하여
현재 한국 사회가 외국에서 온 입국자들로 인해서 다양한 논란이 발생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집니다. 불과 한달 전만해도 한국에서 외국으로 탈출하려는 행렬들이 이어졌고 불법체류자들마저 자진해서 한국을 빠져나가는 모습도 연출되었는데요. 이제는 정반대로 외국에서 한국으로 들어오기를 원하는 상황입니다. 한국에서 뛰는 외국인 선수들도 한국을 벗어난다더니 이제는 아예 가족 전체를 데리고 한국에 오겠다는 선수들도 생겨나고 있다고 전해집니다. 외국인들도 그럴정도인데 한국 교민들과 유학생은 더 그런다는데요. 특히 미국사회에서는 정반대의 상황이 펼쳐지자 연일 한국행 비행기는 만석에 티켓가격도 치솟는 상황입니다. LA지역 한 유학생은 학교도 문을 닫았고 미국도 불안해 한국으로 돌아가는게 낫다고 인터뷰를 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결정적으로 만약 병원에 입원할 경우에는 병원비가 한국보다 훨씬 비싸니까 병원가더라도 한국에서 가는게 낫다며 한국행을 서두르는 교민들이 많아진다고 합니다. 특히 이것은 미국사회에서 더 두드러지는 현상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미국만이 아닙니다. 한국은 개방되어 있고 한국의 의료시스템이나 치료시설등을 선호하는데다가 한국 당국의 각종 모습이 연일 세계 언론에서 극찬을 받는등 소위'노아의 방주'와 같이 외국인들이 몰려들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것이죠. 외국인 입국자들도 매일 만명가까이 되고 있는 상황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외국에서 들어오는 사람들이 한국에서 제대로 규칙을 지키지 않고 있다고도 전해집니다. 특히 한국은 많은 면에서 대처를 잘해왔고 이제는 전세계에서 유독 눈에 띌정도로 수치가 안정되어 갑니다. 그런데 이제 한가지 변수가 생겼는데 외국에서 오는 사람들의 행동이 지역사회에서 논란이 되는 것입니다. 수원에서는 영국인이 혼자 잠시 있어야하는 규칙을 무시하고 마음대로 돌아다녀 지역사회를 뒤집어 놓았다고 합니다. 일각에서는 외국에 있다보니 문하가 달라서 좀더 자유롭게 행동하는게 아닌가 하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실제 호주에서는 외출금지등의 전국적인 캠페인이 실시됨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해변에 나와서 일광욕을 합니다. 방송사에서 인터뷰를 하자 그들은 그저 집에있기 심심해서 밖에 나왔다고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한국은 이런 문제를 매우 철저하게 주시하는 사회분위기인데 호주 및 유럽등은 젊은층에서 특히 다른 분위기가 나고있습니다. 또한 외국에서 유학을 한 학생들도 한국에서 비슷한 문제를 벌여서 사회적인 논란 거리가 되기도 합니다. 네티즌들은 현재까지 한국에서는 전 국면적으로 매일 문자를 받고 주의해야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지만, 외국에서 들어온 사람들은 한국 분위기를 잘 몰라서 젼혀 다른 행동으로 물의를 빚고 있다고도 말합니다. 실제 프랑스와 영국, 이탈리아, 등은 당국의 설득에도 불구하고 규율을 잘 지키지 않는다고 전해집니다. 또한 외국에서 들어오는 한국사람들 중에 일부는 한국이 이제 완전히 안전한게 아닌가라고 생각하며 너무 안도한 나머지 혼자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것 같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그러나 최근 한국보다 오히려 외국 입국자들에서 다양한 문제가 생기고 있어서 한국 입국자들에게 좀더 철저한 조치가 필요한게 아닌가하는 긴장감이 감돌고 있습니다. 아무리 문화차이라고 하더라도 한국에서는 한국만의 지켜야하는 룰이 있기 때문에 한국에 들어온 이상 철저하게 지켜줘야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한국에 들어오는 외국발 입국행렬은 계속 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한국이 가장 낫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늘고 있어서 교민이 아닌 순수 외국인들도 입국하지 않겠느냐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시기상으로 상황을 완전히 종료시킬 수도 있는 매우 중요한 단계이나 이런 변수가 속출하고 있어서 관계당국은 더욱더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모습이 나오고 있습니다. 반면 한국에 기존에 머물던 외국인들도 자국에 있는 가족들을 반대로 걱정하는 상황이 나오고 있습니다. 일부 영어교사들은 외국에 있는 가족을 생각하면 자신만 한국에 있는게 미안하다고 할 정도로 현재 분위기는 완전히 역전되어 있습니다. 한국으로 몰려드는 외국인 행렬이 또 하나의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코로나 19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밉보이는 베트남 (0) | 2020.03.30 |
---|---|
루마니아에 대한 한국의 은혜 (0) | 2020.03.29 |
코로나치료제 top4, 우한폐렴 백신랭킹, 후보 약물 (0) | 2020.03.28 |
미국,이탈리아 탓하던 중국이 결국 '최후의 발원지'로 내세운곳 (0) | 2020.03.28 |
일본 홋카이도대 교수"조업 재개한 중국, 인구 40% 가량 감염될 것" (0) | 2020.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