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ipt data-ad-client="ca-pub-9999309972544246" async 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cript data-ad-client="ca-pub-9999309972544246" async 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script data-ad-client="ca-pub-9999309972544246" async 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 코로나치료제 top4, 우한폐렴 백신랭킹, 후보 약물

코로나치료제 top4, 우한폐렴 백신랭킹, 후보 약물

2020. 3. 28. 18:04코로나 19에 대하여

현재 기준 전 인류가 가장 기다리는것이 코로나 19 백신과 치료제겠죠. 이제는 전세계 70여개국 10만이상 감염자가 나오며 사망자도 3천명을 넘어섰다고 합니다. 그리고 뚜렷한 치료제와 백신이 없다는것도 우리를 불안하게 만듭니다. 완벽한 개발까지는 1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며 개발보다 기존 약물중 적합한 치료제를 찾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합니다. 국내 제약회사도 치료제 후보군을 발표했는데요. 코미팜의 파니픽스, 셀리버리의 신약후보물질인 사이토카인 폭풍을 억제한다며 긴급 임상신청을 했습니다. 또한 이뮨메드와 셀트리온 한미약품 등도 치료제 개발에 나섰고 관련 업체에서 힘을 쏟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기존 약물중 어떤 약물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지 준비해 봤습니다. 크게 4가지로 정리한 코로나 19 치료제 TOP4를 시작하겠습니다.

4위는 말라리아치료제 클로로퀸입니다. 현재 중국의 10개 이상의 병원에서 임상시험중이며 폐렴에 효과가 뛰어나다고 합니다. 아주 오래된 약물이라 특허도 만료되여 저렴한 가격에 판매되는데 2003년 사스유행시기에 우연히 치료효과가 밝혀지면서 사스,메르스, 코로나 19 사용되고 있습니다. 바이러스가 들러 붙을 수 있는 글리코실화 과정을 방해 해 감염을 억제한다고 합니다.
3위는 미국 길리어드사의 에볼라 치료제 렘데시비르입니다. 현재 개발중인 약물로 임상 2상까지 맞혔지만 아직 승인이 나지 않았습니다. 미국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적으로 사용했고 그 결과 호흡곤란과 폐렴증상이 하루만에 호전됐다고 합니다. 바이러스가 증식 하기 위해서 핵산이 꼭 필요한데 이 핵산은 건물의 철근같은 존재로 해당 약물이 부실공사를 유도해 바이러스가 죽게되는 원리라고 합니다.
2위는 일본 도야마 케미칼의 신종플루 치료제 아비간입니다. 광범위한 바이러스 질환 치료제로 최근 중국도 치료제로 승인했습니다. 현재 중국이 아비간을 이용해 치료를 시도 중이며 한국도 수입을 고려중입니다. 특이하는것은 바이러스 작용기전이 밝혀지지 않고 승인을 받았는데요 이상하게 여길수도 있지만 흔한경우라고 합니다. 바이러스에 특수한 효소를 억제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고 추증만 하고 있습니다.
1위는 미국 애브비에서 개발한 에이즈 치료제 칼레트라입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치료제로 복용방식이라고합니다. 단백질 분해효소를 억제해서 바이러스가 외부로 방출되지못하게하며 지난 2003년 사스치료에도 효과를 보였습니다. 코로나19도 단백질 분해효소를 가져 이 약이 효과를 낼수 있으며 임산부에게 투여가 가능할만큼 안정성도 높다고합니다.
네 오늘은 코로나19 치료제로 거론되는 기존약물을 알아봤는데요, 알아본 4가지 약물외에 독감치료제, 에이즈치료제, 에볼라 직하바이러스 항바이러스제, 중동호흡기증후군 치료약물 등 다른 약물도 임상시험 중이거나 준비중입니다. 아직 완벽한 치료제나 백신이 나온것이 아니니 이 사태가 해결될 때까지 최소한의 접촉, 최대한의 소독을 최선으로 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