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8. 31. 13:59ㆍ국제
[경향신문]

지난 5일 런던의 한 병원에서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 자원자가 임페리얼 칼리지가 개발하는 백신 주사를 맞고 있다. AP연합뉴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끝내기 위해 각국이 백신 개발과 승인 절차에서 속도를 내고 있다. 그러나 바이러스를 하루라도 퇴치하기 위한 속도전이 오히려 사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세계보건기구(WHO)의 ‘백신 시험 전문가 연대 그룹’(백신 전문가 그룹)은 의학전문지 ‘랜싯’에 지난 27일(현지시간) 발표한 논문에서 “효과가 떨어지는 백신을 정부나 시민이 과신할 경우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다른 조치들이 느슨해져서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는 효능이 낮은 백신인데도 시민들이 백신을 맞았다는 이유만으로 마스크 쓰기·손 씻기·물리적 거리두기 등에 소홀해지면서 바이러스 확산 위험을 오히려 더 키울 수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시급성을 이유로 백신 승인의 문턱을 낮출 경우 효능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백신들이 범람하게 될 수도 있다고 전문가 그룹은 지적했다.
앞서 러시아는 지난 11일 3상 임상시험을 거치기도 전에 ‘스푸트니크V’ 백신을 세계 최초로 사용 승인했다. 중국도 지난 7월부터 의료진 등 코로나19 고위험군을 상대로 백신 접종을 시작했다.
다른 국가들도 백신 승인을 서두르고 있다. 스티브 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국장은 30일 파이낸셜타임스와 인터뷰에서 3상 임상시험이 완료되기 전에 코로나19 백신을 긴급승인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그는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전망을 높이기 위해 절차를 서두르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그동안 대선 전 백신 출시를 위해 총력을 기울여 왔다. 미국 과학계는 트럼프 행정부가 백신의 대선 전 긴급사용을 허용하도록 FDA에 압박을 가할 수 있다고 우려해왔다.
브라질 보건 당국도 지난 29일 서류 접수 후 60일 이내에 결과를 발표하도록 돼 있는 현재의 백신 승인 절차를 최대한 단축하겠다고 밝혔다. 보건부 산하 국가위생감시국(Anvisa)의 구스타부 멘지스 의약품·생물학 제품 총괄 담당은 “코로나19 피해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백신 개발에 대한 압력이 최고조에 달한 상태”라면서 “정부의 백신 확보 노력을 돕기 위해 승인 심사 기간을 단축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영국 정부는 지난 28일 올해 안에 백신을 승인할 수 있도록 긴급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영국은 올해 말까지는 백신 승인과 관련해 유럽연합(EU)의 규제를 받아야 하지만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가 발효되는 내년부터는 자체적으로 백신을 승인할 수 있다.
'국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하루 확진 7천명에도 느긋한 프랑스인들? 왜?" (0) | 2020.09.04 |
---|---|
브라질 '환상의섬' 다시 여행객 받는데.."코로나 걸렸던 사람만" (0) | 2020.08.31 |
"아베 건강 문제로 사임 의향"..일본 언론 일제 보도 (0) | 2020.08.28 |
중국 사막에 특급호텔?..알고보니 한국인 작품 (0) | 2020.08.24 |
빌 게이츠 "코로나 내년말 종식..한국, 대응 잘 했다" (0) | 2020.08.20 |